KOREA

October 2025 menu_m menu_x
visual_sub1_m

The world's spotlight is on the host city of the 2025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Economic Leaders’ Meeting this October. Gyeongju in Gyeongsangbuk-do Province was the capital of the ancient Silla Kingdom, which ruled the Korean Peninsula for nearly a millennium. Why are 6,000 participants from 21 member economies, including government heads, top officials and the world’s leading entrepreneurs, gathering in this city? Let’s take a three-and-a-half-hour high-speed train ride from Seoul to Gyeongju and explore.

Writer. Hye Kyeong Sung

Following Ancient Footsteps

Gyeongju’s scenery is quite unique. Old tombs and historic sites sit adjacent to residential houses and bustling streets, as if they have always been there. Don’t be surprised to stumble upon an artifact or two as you walk past streets lined with interesting boutiques and stylish restaurants.

The largest ancient tomb complex in the city, the Daereungwon Ancient Tomb Complex (also known as Daereungwon), is typical of this urban environment. It’s a park filled with small hill-like tombs that sit right in the heart of downtown. The burial mounds are the tombs of Silla kings who ruled this thousand-year-old dynasty from 57 BCE to 935 CE. The silhouettes of 23 tombs, including the Tomb of King Michu, Cheonmachong Tomb and Hwangnamdaechong Tomb, undulate gently against the sky. The tombs quietly watch over the trees growing in the park, families strolling along the paths and happy couples posing for wedding photos.

img1Cheomseongdae Observatory is a Silla-period astronomical observatory and one of Gyeongju’s major tourist attractions.
Visitors can listen to guides’ explanations nearby or rent Silla-period costumes for photos.

Enter Cheonmachong Tomb, the only tomb opened to visitors, for a chance to peer inside one of these royal resting places. In 1973, archaeologists excavated this particular tomb as a test dig before restoring the largest ancient tomb of the Silla period. But what they accidentally stumbled upon was one of the greatest treasures of Silla—a painting of a horse soaring into the sky, hence the name “Cheonma,” meaning “Heavenly Horse.” It remains the only Cheonma painting from the Silla period. Following this discovery, a total of 11,526 high-value artifacts were unearthed in this area alone. The popular phrase, “Dig a hole anywhere in Gyeongju and you’ll find treasure,” seems to have begun here.

You are bound to come across another historic site as you walk about Gyeongju. Near Daereungwon is Cheomseongdae Observatory. Despite being erected in the 7th century, the structure has never been damaged and retains its original form, making it the only ancient observatory in the world to remain intact without undergoing restoration. A total of 360-365 stone blocks are seamlessly stacked towards the sky, a number believed to represent the days of a year. Visitors pose for photos next to the observatory or listen to guides, imagining how astronomers once climbed the tower to gaze up at the night sky. Standing amongst the visitors, you can imagine the past of this architectural wonder, which has hardly changed since it was built.

Beyond Cheomseongdae lies the Gyeongju Historic Are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where visitors can find Gyeongju National Museum, highlighting the treasures of the city. In the past, Silla was known as the “Country of Gold” for its skilled gold craftsmanship, with the kingdom producing innumerable gold ornaments and Buddhist artworks. Among these treasures, the most celebrated works are the gold crowns, which are displayed at the museum. As you take in the gold crowns illuminated under the gentle light, time seems to stand still. The museum will host a special exhibit from Oct. 28 featuring all six Silla gold crowns excavated in Korea. Seeing the gold crowns together in one room will undoubtedly be a wondrous sight.

  • img1The Gyeongju National Museum displays gold artifacts from the Silla Kingdom.
    © Gyeongju National Museum.
  • img1Daereungwon Ancient Tomb Complex contains 23 royal tombs from the Silla period and stays open until 10 p.m.,
    making it perfect for evening walks. © TongRo Images Inc.

고대의 숨결을 따라서

경주의 풍경은 남다르다. 아파트며 주택, 사람이 북적이는 큰 길가 옆에 능이나 유적지가 당연한 듯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특이한 가게나 멋스러운 식당이 길게 늘어진 곳을 걷다가도, 유물들이 갑자기 인사를 건넨다.

대릉원, 경주에서 가장 큰 고분군도 그렇게 만난다. 번화가 한 가운데, 작은 동산 크기의 무덤이 모인 공원이 불현듯 나타난다. 기원전 57년부터 935년까지 약 천 년 왕조를 누린 신라의 왕들이 여기 잠들어 있다. 미추왕릉, 천마총, 황남대 등 총 23기의 능이 부드러운 곡선을 자랑하며 꼿꼿이 서 있다. 능은 그것들 사이에 자리 잡은 나무, 편안하게 산책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능을 배경으로 결혼사진을 촬영하며 기쁨에 젖은 사람들을 묵묵히 바라본다.

그런 능을 들여다 본다. 유일하게 개방된 고분인 천마총 안으로 한발씩 옮긴다. 1973년, 신라시대의 가장 큰 고분을 복원하기 전 시험 삼아 손을 댄 무덤에서 천 년 전 보물이 발견된다. 하늘로 높이 비상하는 말 ‘천마’의 그림이다. 지금까지도 유일한 신라시대의 회화인 천마도가 발굴된 이후, 대릉원 일대에서 국보급 유물 11,526점이 쏟아져 나온다. “경주는 땅을 파기만 하면 유물이 나온다”라는 말이 여기서 시작된 듯하다.

경주에서는 걷기만 해도 다른 유적지를 금방 만난다. 대릉원 일대를 산책하다 첨성대를 마주한다. 한 번도 무너지지 않고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천문대. 보수·복원 공사 없이 이렇게 제 모습을 유지한 고대 천문대로는 첨성대가 유일하다. 1년을 의미하는 360개에서 365개의 돌이 하늘을 향해 차곡차곡 맞물려 있다. 그 앞의 선사람들은 사진을 찍거나 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탑 위에 마련된 작은 방에 자리했을 관측사의 모습을 상상한다. 그들 옆에 서서 아득히 먼 그때를 그린다. 잘 보존된 외형 덕분일까, 수천 년 전 모습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첨성대를 기점으로 펼쳐진 평원은 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주역사유적지구’다. 그 끝에 경주의 보물들이 모인 국립경주박물관이 있다. 신라는 ‘금의 나라’라고도 불렸다. 금 생산이나 금 공예 기술이 뛰어났던 신라는 금으로 여러 장식품과 불교 예술품을 만들었다. 그런 신라의 금 유물 중에서도 제일인 금관이 바로 이곳에 있다. 공중에 떠 있는 듯 비치된 금관은, 조명을 받아 고고히 빛난다. 은은하게 발광하는 것처럼 오묘한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하염없이 시간이 지난다. 전국에 퍼진 6개 신라 금관이 10월 28일부로 이곳에 모두 전시될 예정이다. 금관 여러 개가 모이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Painting History with Light

After a walk through history, head towards Hwangnidan Street, a trendier part of the city. Once a reserved village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or Hanok, it is now bustling with locals and visitors. Young business owners came to this area a few years ago to open workshops, cafes and restaurants, and the quiet neighborhood soon became one of the most popular attractions in Gyeongju. The streets are lined with food stalls selling creative snacks that reflect the region’s heritage. One such snack is a waffle-like bread filled with stretchy mozzarella cheese, shaped like the Korean 10-won coin, featuring an image of Bulguksa Temple’s Dabotap Pagoda, a Gyeongju icon. Browse the small shops and stalls along the street as you munch a cookie with the face of the Buddhist statue of Seokguram Grotto or an ice cream crafted to resemble the tombs and Cheomseongdae.

img1Gyeongju Tower is an observation deck built with an engraved motif of the Nine-story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offering scenic views and multimedia presentations. It also features an outdoor rooftop garden and a café. © Korea Tourism Organization, Lee Beom-su

As dusk descends over the city, ancient relics slowly come to life. It’s time to visit Donggung Palace, the residential palace of Silla princes, and Wolji Pond, a manmade pond surrounded by traditional pavilions and buildings. Wolji Pond is best admired at night, when the moon reflects on the water’s surface. As the sky turns from pink to dark blue, the palace and the pond light up simultaneously. The reflection on the calm water, with its occasional gentle ripples, creates a truly magical scene.

Another nighttime attraction near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re just as beautiful. The Woljeonggyo Bridge was a wooden bridge that connected the palace in the north and the mountains in the south. The bridge that stands today is a reconstruction on the original site. There are fewer people on the streets at this late hour, but the bridge is lively with visitors as it shines softly under the dark sky. Happiness and wonder fill the air as families cross stepping stones across the stream and couples pose in front of the colorful bridge for a photo. Walking across the restored bridge is like stepping into a glorious past.

Donggung Palace, Wolji Pond and Woljieonggyo Bridge overlook the modern city with solemn grace. This dream-like scenery dots Gyeongju, which is currently hosting the World Heritage Festival throughout autumn. In September, a dawn meditation session took place in the serene and tranquil setting of Seokguram Grotto, and at Bulguksa Temple, participants dressed in traditional Silla costumes visited the temple after hours to immerse themselves in a virtual myth. From mid-October, Korean Heritage Media Art events will take place at the Daereungwon. Korean practitioners of media art will showcase their work against the royal tombs, using the grassy landscape as their canvas. The ancient ruins of Gyeongju truly shine for all to see.

The day is not quite over, for the Bomun Tourist Complex is the last stop of this trip. Hotels, galleries, museums and an amusement park dot the shores of this vast lake. Walk around the lake, past a bridge and a square illuminated by media art, and you will arrive at a grand building—the Gyeongju Hwabaek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This is the main venue for the upcoming APEC meetings, its name inspired by Silla’s council of nobles, the Hwabaek. Here, at last, the answer to the question posed at the beginning of this trip seems to reveal itself.

There is a reason why the world will be gathering here in Gyeongju this fall. The roots of the so-called Hallyu (Korean Wave) trace back to Korean tradition, and that tradition remains alive in the thousand-year-old Silla capital. Leaders of member countries will discuss the future in this historic city. The path of the future has yet to be decided, but we can imagine what might lie ahead beyond Gyeongju.

img1(Left)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where Silla princes once lived, feature a palace surrounded by ponds and famous for its nighttime scenery. © TongRo Images Inc.
(Right) Gyeongju Hwabaek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in Bomun Tourist Complex, venue for the 2025 APEC Economic Leaders’ Meeting © Hwabaek International Convetion Center.

빛으로 역사를 그리며

역사 속을 걷다 보니 어느새 현대 공간을 품은 황리단길에 닿는다. 한때 조용한 한옥마을이었지만 지금은 활기로 넘친다. 몇 년 전, 젊은 창업가들이 공방, 카페, 식당 등을 골목마다 차리기 시작하며 동네의 고즈넉한 분위기에 아기자기함이 더해져 진풍경을 이루게 되었다. 경주라는 지역의 특별한 정체성 덕분일까, 많은 이가 찾는 유명한 간식거리들도 넘쳐난다. 한국에는 경주 불국사 다보탑이 그려진 동전이 있는데, 그 동전을 본뜬 빵도 여기서 처음 시작됐다. 볼거리가 넘치는 거리를 거닐며 석굴암 본존불의 얼굴 모양 구움과자, 능과 첨성대가 있는 경주의 풍경을 형상화한 아이스크림을 맛보다 보니 즐거움이 배가 된다.

날이 서서히 어둑해진다. 경주 구석구석에 있는 유물들이 살아나는 시간이다. 동궁과 월지를 찾는다. 동궁은 신라 시대의 왕자가 살던 곳, 월지는 달이 비치는 연못으로, 연못에 여러 채의 누각과 건물이 둘러싸고 있다. 월지는 이름에 걸맞게 날이 저물면 아름답게 피어난다. 하늘이 붉은색에서 남색으로 물들어 가는 마법 같은 시간에 동궁과 월지에 설치된 조명이 일제히 켜진다. 잔잔한 연못에 화려한 동궁의 모습이 반사되다가도 윤슬이 일렁이면, 꼭 판타지 세계에 와 있는 것만 같다.

동궁과 월지 근처에는 천이 하나 있다. 동궁과 월지 못지않게 경주를 대표하는 야경 명소가 기다리는 곳이다. 월정교는 그 옛날 북쪽 왕궁과 남쪽의 산을 연결했던 다리였다. 처음에는 터만 발견되었는지라 오늘의 월정교는 복원 사업을 통해 다시 세워졌다. 먼 과거를 추억하는 땅에 다시 선 다리는, 찬란했던 그 시절을 기억하는 듯하다. 월정교에 은은한 조명이 설치되어, 검게 저문 하늘을 배경으로 모습을 뽐낸다. 인적이 줄어드는 저녁 시간인데도, 월정교 앞은 북적인다. 월정교 앞 개울을 가로지르는 징검다리를 건너는 사람들, 오색영롱한 월정교를 카메라에 담는 사람들에게서 경이와 행복의 기운이 감돈다.

꿈결 같은 장면은 경주 전역을 수놓는다. 9월 내내, 경주를 바탕으로 한 화려한 미디어아트와 유물을 좀 더 가까이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세계유산축전’이 열렸다. 10월 중순부터는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행사가 대릉원에서 열린다. 고분을 캔버스로 삼아, 한국의 예술가들이 미디어아트를 선보일 것이다. 경주에 있는 오랜 기억들은, 말 그대로 빛난다.

완연한 밤이 되어 하루 마무리를 위해 보문관광단지로 향한다. 넓은 호수 주변에는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 놀이공원, 미술관과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길을 달리다 보면 미디어아트로 빛나는 대형 다리와 광장에 놓인 구조물이 눈길을 끈다. 그러다 마주친 커다란 컨벤션 센터를 보았다. 신라 시대 합좌 제도인 ‘화백’에서 모티프를 얻어 설계된 건물로, APEC 정상회의가 열릴 장소다. 그곳을 바라보며 경주 탐방을 시작하게 만든 질문에 대한 답이 이미 나왔음을 느낀다.

올가을 세계가 이곳에 모이는 이유는 분명하다. 한류의 뿌리는 한국의 전통에 있으며, 그 전통은 천년 고도 신라에서 여전히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전통과 역사가 깃든 경주에서, 회원국들은 다가올 미래를 고민할 테다. 우리는 앞으로 어떤 길을 걸어갈 것인가, 경주에서 펼쳐질 그다음을 상상해 본다.

img1

img1

faceBook Twitter link Print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