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원 활동 콘텐츠

영화

2025 오타와 한국영화제(Ottawa Korean Film Festival, OKFF): 웹툰에서 스크린으로
영화 2025 오타와 한국영화제(Ottawa Korean Film Festival, OKFF): 웹툰에서 스크린으로

2025 오타와 한국영화제(Ottawa Korean Film Festival, OKFF): 웹툰에서 스크린으로 - 기간: October 15, 2025 – October 26, 2025 - 장소: Cineplex Cinemas Lansdowne & VIP, Bytowne Cinema, and Online (MovieBloc) - 무료 관람(사전 등록 필요) - 관람 정보: https://kccincanada.com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은 2025년 10월 15일부터 26일까지 캐나다 수도 오타와에서 제8회 오타와 한국영화제(Ottawa Korean Film Festival, OKFF)를 개최합니다.  올해 8회를 맞이하는 이번 영화제는 ‘웹툰에서 스크린으로 (Comic Frames to Cinema Flame)’를 주제로, 웹툰과 영화가 만나 만들어내는 특별한 시너지에 주목합니다.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영화뿐만 아니라, 영화 원작의 프리퀄 웹툰이 있는 작품들도 온·오프라인으로 상영되며, 스토리가 매체와 장르를 넘나드는 과정을 관객들에게 선보입니다. 상영작은 <좀비딸>(2025, 필감성),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2024, 김다희), <침범>(2024, 김여정 & 이정찬), <소방관>(2024, 곽경택), <거룩한 밤: 데몬 헌터스>(2025, 임다희), <반도>(2020, 연상호), <해치지 않아>(2020, 손재곤), <그대를 사랑합니다>(2011, 추창민)까지 총 8편입니다. 또한, 영화 속 장면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포토존과 한정판 페스티벌 굿즈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관객들은 이와 함께 한국 영화와 웹툰의 창의성과 혁신, 그리고 전 세계적인 문화적 영향력을 기념하는 축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상영 시간표 극장 상영  좀비딸(2025, 필감성)  - 2025.10.16 19:00 @ Cineplex Cinemas Lansdowne & VIP https://www.eventbrite.ca/e/okff-my-daughter-is-a-zombie-oct-16-2025-tickets-1748551507629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2024, 김다희) - 2025.10.18 10:00 @ Cineplex Cinemas Lansdowne & VIP https://www.eventbrite.ca/e/okff-yumis-cells-the-movie-oct-18-2025-tickets-1748617665509 침범 (2024, 김여정, 이정찬) - 2025.10.24 18:30 @ ByTowne Cinema https://www.eventbrite.ca/e/okff-somebody-oct-24-2025-tickets-1748656942989 소방관 (2024, 곽경택) - 2025.10.25 13:00 @ ByTowne Cinema https://www.eventbrite.ca/e/okff-firefighters-oct-25-2025-tickets-1748667905779 온라인 상영 : 2025.10.15 - 10.26 @ MovieBloc (www.moviebloc.com/event/OTTAWA2025) 거룩한 밤: 데몬헌터스 (2024, CHOI, Dong-Hoon): https://forms.gle/J5459HCivTPFEteL9 반도 (2020, 연상호): https://forms.gle/W5ajwbKNDs2YhFL6A  해치지 않아 (2020, 손재곤): https://forms.gle/kN4WWdMm41x31ocE9 그대를 사랑합니다 (2011, 추창민): https://forms.gle/9kxvaRxRiro5m5ab9  특별 이벤트 포토 부스: 영화 포스터를 배경으로 특별한 사진을 남길 수 있는 그린스크린 포토부스와 한정판 OKFF 기념품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올해 오타와 한국영화제에서 한국 영화와 웹툰의 매력을 직접 만나보세요! 포토 부스 일정 10월 16일 (목) — 오후 6시 - 10시 @ Cineplex Cinemas Lansdowne and VIP- 10월 18일 (토) — 오전 9시- 오후 1시 @ Cineplex Cinemas Lansdowne and VIP  10월 24일 (금) — 오후 5시 15분 - 9시 @ ByTowne Cinema- 10월 25일 (토) — 오후 12시 - 3시 45분 @ ByTowne Cinema

2025.08. SAC ON SCREEN  <이은결 더 일루션 - 마스터피스>  특별 상영회
영화 2025.08. SAC ON SCREEN <이은결 더 일루션 - 마스터피스> 특별 상영회

주캐나다한국문화원에서는 2025년 8월 30일(토) 오후 1시에  단순한 마술(Magic)을 넘어 일루션(Illusion) 이라는 새로운 플랫폼 <이은결 더 일루션 - 마스터피스> 특별 상영회를 개최합니다. *일시: 2025년 8월 30일(토) 오후 1시–2시 20분 (총 80분 상영) *장소: 주캐나다한국문화원 다목적홀 (150 Elgin St #101, Ottawa, ON K2P 1L4) *신청: https://forms.gle/tSGXKWT3YPgxQhqx8  (동반자 참석 가능합니다) *무료  *<이은결 더 일루션 - 마스터피스> 라스베거스 공연을 비롯한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매지션이자 ‘일루션'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일루셔니스트 이은결. 총 1,500회 이상의 공연, 누적관객 150만명 이상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으로 공연계에 새로운 역사를 써온 그가 10년 넘게 관객의 사랑을 받고있는 <더 일루션>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춘다! 독창적인 무대표현과 예술적 상상력, 기술이 절묘하게 조합된 새로운 퍼포먼스들을 꾸준히 선보이며 단순한 마술(Magic)을 넘어 일루션(Illusion) 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하여 일루션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진 이은결은 매직이라는 장르 최초로 국립극장과 예술의전당 단독공연에 이어 지난해 LG아트센터의 개관작으로 초청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 받으며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냈다.<더 일루션-마스터피스>는 이렇게 12년 넘게 한 작품만을 세공한 일루셔니스트 이은결이 서사를 완결하기 위한 완성품이다.

[광복 80주년 특별행사] 밴쿠버필름스쿨에서 이준익 감독과의 대화 및 <동주>, <박열> 상영회 개최
영화 [광복 80주년 특별행사] 밴쿠버필름스쿨에서 이준익 감독과의 대화 및 <동주>, <박열> 상영회 개최

주캐나다한국문화원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북미 최고의 영화 예술 교육기관 중 하나인 밴쿠버 필름스쿨(Vancouver Film School)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준익 감독의 <동주>(2016), <박열>(2017) 상영회를 개최합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이준익 감독을 모시고 밴쿠버 필름스쿨 학생들과 함께하는 ‘감독과의 대화’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 본 행사는 밴쿠버필름스쿨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행사입니다. 티켓은 별도로 판매되지 않으며, 일반 관람이 제한되는 점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준익 감독 소개 South Korea's Leading Film Director and Executive Producer 이준익(1959년 9월 21일 출생)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영화감독 겸 프로듀서 중 한 명입니다. 2005년 작품인 <왕의 남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영화는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현재 시네월드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CEO)를 맡고 있으며, 제작과 배급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2015년에는 송강호 주연의 역사 드라마 <사도>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 작품은 탈린 블랙 나이츠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습니다. 2016년에는 일제강점기 시인 윤동주의 삶을 그린 흑백 전기영화 <동주>를 감독했고, 2017년에는 독립운동가 박열의 이야기를 다룬 <박열>을 제작했습니다. 역사적 통찰과 깊은 감성,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낸 그의 필모그래피는 한국 영화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감독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도 예술성과 메시지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밴쿠버필름스쿨 소개 밴쿠버 필름스쿨(Vancouver Film School)은 1987년 설립된 캐나다 최대 규모의 영화 예술 학교 중 하나로,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디자인 등 15개 전공에서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합니다. 졸업생들은 <겨울왕국>, <라푼젤> 감독 Lino DiSalvo, <디스트릭트9>  감독 Neill Blomkamp, <반지의 제왕> 애니메이터 Chad Moffitt, <심장이 뛴다> 윤재근 감독 등 세계적인 인재로 활약하고 있으며, 900명 이상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졸업생들은 미국 박스오피스 상위 10대 흥행작 전부, 글로벌 인기 게임 10편 중 8편, 스트리밍 인기작 5편 전부에 크레딧이 등재될 정도로 활약하고 있으며, 오스카·에미·골든글로브 등 주요 시상식 수상자를 다수 배출하며 세계적인 교육기관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동주> (2016) 이름도, 언어도, 꿈도 모든 것이 허락되지 않았던 일제 시대. 한 집에서 태어나고 자란 동갑내기 사촌지간 동주와 몽규. 시인을 꿈꾸는 청년 동주에게 신념을 위해 거침없이 행동하는 청년 몽규는 가장 가까운 벗이면서도, 넘기 힘든 산처럼 느껴진다.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혼란스러운 나라를 떠나 일본 유학 길에 오른 두 사람. 일본으로 건너간 뒤 몽규는 더욱 독립 운동에 매진하게 되고, 절망적인 순간에도 시를 쓰며 시대의 비극을 아파하던 동주와의 갈등은 점점 깊어진다. 암흑의 시대, 평생을 함께 한 친구이자 영원한 라이벌이었던 윤동주와 송몽규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가 지금 시작된다.  *<박열> (2017) "조선인에게는 영웅, 우리한텐 원수로 적당한 놈을 찾아."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퍼진 괴소문으로 6천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이 학살된다.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관심을 돌릴 화젯거리가 필요했던 일본내각은 '불령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 청년 '박열'을 대역사건의 배후로 지목한다. "그들이 원하는 영웅이 돼줘야지" 일본의 계략을 눈치챈 '박열'은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일본 황태자 폭탄 암살 계획을 자백하고, 사형까지 무릅쓴 역사적인 재판을 시작하는데.... 조선인 최초의 대역죄인! 말 안 듣는 조선인 중 가장 말 안 듣는 조선인! 역사상 가장 버릇없는 피고인! 일본 열도를 발칵 뒤집은 사상 초유의 스캔들! 그 중심에 '박열'이 있었다!

2025.08 케이시네마 광복 80주년 계기 오프라인 상영회 <하얼빈>
영화 2025.08 케이시네마 광복 80주년 계기 오프라인 상영회 <하얼빈>

주캐나다한국문화원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2025년 8월 14일(목) 7:00PM (ET), 오타와·몬트리올·토론토의 시네플렉스 영화관에서 우민호 감독의 <하얼빈>(2024) 오프라인 상영회를 개최합니다.  *<하얼빈> 오프라인 상영회 안내  ●일시: 2025년 8월 14일(목) 오후 7시 (ET) ●무료 상영 ●무료 포토부스: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운영 (상영 전후에 사진을 남겨보세요!) ●신청일: 2025년 7월 31일 오후 12시 (ET) ~ 마감 시 *장소 및 티켓 신청 링크:   ●오타와:  ○장소: Cineplex Cinemas Lansdowne and VIP (325 Marche Way, Unit 107, Ottawa K1S 5J3)  ○티켓 링크: https://www.eventbrite.ca/e/20250814-k-cinema-free-screening-of-harbin-ottawa-tickets-1542861623649?aff=oddtdtcreator  ●몬트리올:  ○장소: Scotiabank Cinema Montreal (977 Rue Sainte-Catherine Ouest Montréal, QC H3B 4W3) ○티켓 링크: https://www.eventbrite.ca/e/20250814-k-cinema-free-screening-of-harbin-montreal-tickets-1545576804829?aff=oddtdtcreator  ●토론토:  ○장소: Cineplex Cinemas Yonge-Dundas and VIP (10 Dundas Street East #402 Toronto, ON M7A 0B2) ○티켓 링크: https://www.eventbrite.ca/e/20250814-k-cinema-free-screening-of-harbin-toronto-tickets-1545587707439?aff=oddtdtcreator  '티켓 링크'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며,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하얼빈>  1908년 함경북도 신아산에서 안중근이 이끄는 독립군들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둔다.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은 만국공법에 따라 전쟁포로인 일본인들을 풀어주게 되고, 이 사건으로 인해 독립군 사이에서는 안중근에 대한 의심과 함께 균열이 일기 시작한다. 1년 후, 블라디보스토크에는 안중근을 비롯해 우덕순, 김상현, 공부인, 최재형, 이창섭 등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마음을 함께하는 이들이 모이게 된다.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와 협상을 위해 하얼빈으로 향한다는 소식을 접한 안중근과 독립군들은 하얼빈으로 향하고, 내부에서 새어 나간 이들의 작전 내용을 입수한 일본군들의 추격이 시작되는데… 진심과 의심 사이, 우리는 반드시 하얼빈으로 간다.

2025.07 케이시네마 온라인 상영회 <내겐 너무 소중한 너>(2021)
영화 2025.07 케이시네마 온라인 상영회 <내겐 너무 소중한 너>(2021)

가짜라도! 아빠가 되어야 한다! 돈만 빼고 세상 무서울 게 없다고 호언장담하던 ‘재식’은 갑자기 세상을 떠난 ‘지영’의 전재산을 먹튀하기 위해 ‘지영’의 딸 ‘은혜’의 가짜 아빠를 자처하게 된다. 알고 보니 ‘은혜’는 시각과 청각 장애를 모두 가진 아이.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은혜’를 귀찮아 하던 ‘재식’은 손끝으로 세상을 느끼는 ‘은혜’만의 특별한 방식에 조금씩 익숙해지기 시작하는데… 올 봄, 가장 특별한 만남이 이뤄진다! ****** 주캐나다한국문화원은 2025년 7월 25일(금)부터 7월 31일(목)까지 케이시네마(K-Cinema) 온라인 상영회를 통해 <내겐 너무 소중한 너>(2021)를 상영합니다. * 신청 방법 - 신청서: https://forms.gle/BBwediuU7N9eBH4K7  - 신청기간: ~ 7월 24일 오후 12시 (ET)   '신청서 링크'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여,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본 영화는 캐나다 지역에서만 관람할 수 있습니다. * 작품에 대한 불법 복제 및 유포는 법적 처벌 대상이 됩니다. * 아래 신청 링크를 통해 신청하신 분들에게 영화를 관람할 링크를 메일로 발송해드립니다. (7월 24일  ET 18:00 이전 발송) * 무료 상영 * 주캐나다한국문화원 K-Cinema 온라인 상영회는 무비블록(MovieBloc, https://www.moviebloc.com) 플랫폼을 통해 진행됩니다.

전시

나전장의 도안실
전시 나전장의 도안실

주캐나다한국문화원(Korean Cultural Centre Canada, KCC)과 서울공예박물관(Seoul Museum of Craft Art, SeMoCA)은 오는 10월 23일(목)부터 12월 12일(금)까지 특별기획전 <나전장의 도안실> 순회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산 지원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이 주관하는 투어링 케이-아츠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2023년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린 동명의 특별전을 새롭게 구성해 선보입니다. <나전장의 도안실>은 ‘그림으로 보는 나전’을 주제로, 조개껍데기를 오려 붙여 문양을 만드는 나전칠 공예의 설계도인 나전 도안에 주목합니다. 전시는 근현대 나전칠 공예 장인들의 희귀 도안과 대표작은 물론, 현대 나전 작가들의 창작물까지 총 10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이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나전칠 공예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조명합니다. 전시 정보 - 전시명: 나전장의 도안실 - 전시 기간: 2025년 10월 23일 – 12월 12일 - 전시 장소: 한국문화원 (150 Elgin St #101, Ottawa, ON K2P 1L4) - 개막행사: 2025년 10월 23일, 17:30 (ET) (사전 등록 불필요)  - 참여 작가: 전성규, 김봉룡, 송주안, 심부길, 민종태, 김태희, 김성수, 이형만, 송방웅, 손대현, 최상훈, 김 설 나전장의 도안실 <나전장의 도안실>은 한국 나전칠공예의 근대화를 이끈 전성규와, 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김봉룡, 송주안, 심부길, 민종태, 김태희의 작업을 ‘도안圖案’에 주목하여 재조명하는 전시입니다. 나전칠공예는 전복이나 소라 껍데기를 얇게 갈아 자르거나 오려 붙여 표면을 장식하고, 그 위에 옻칠을 반복해서 칠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고려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약 1,000년에 걸쳐 이어진 한국의 대표 전통 공예입니다. 도안은 칠기 위에 자개로 그림을 그리거나 문양을 배치하기 위한 설계도입니다. 그러나 단순한 밑그림을 넘어서 작품의 조형미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나전장의 예술혼이 응축된 또 하나의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도안에는 작품이 제작되는 시대와 지역의 전통과 지식, 미의식, 그리고 상징체계가 담기는 동시에 작가 개개인의 철학과 예술적 감수성, 경험 또한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20세기 초까지 나전장들은 도안의 원초적 형태인 ‘견양見樣’을 기물이나 가구 위에 그리고, 그 위에 자개를 붙여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이후 1920년대부터는 종이에 먹, 펜, 연필 등으로 도안을 따로 그린 다음, 복제한 도면 위에 자개를 붙이는 ‘붙임질 도안’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도안을 기물이나 가구에 반복적으로 부착하면서 나전칠공예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번 전시는 근대적 ‘도안圖案’을 도입하고, 도구를 개량해 한국 나전칠공예를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시키고, 대중화에 앞장선 여섯 명의 나전장을 소개합니다. 더불어 그들의 장인 정신과 기량을 이어받아 오늘날 나전칠공예를 이끌어가는 제자들의 작품도 함께 선보입니다. 손때가 담긴 도안부터 완성된 기물에 이르기까지 창작 과정에 깃든 그들의 도전과 장인 정신을 깊이 들여다보시길 바랍니다.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연구사 정은주

K-Comics World
전시 K-Comics World

K-Comics World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2025년 9월 1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웹툰 전시 <K-Comics World>를 개최합니다. 본 전시는 한국 웹툰의 독창적인 서사를 다양한 시각 자료와 체험 요소를 통해 소개하며, 이윤창 작가의 <좀비딸>과 싱숑의 동명 웹소설을 원작으로 유미(UMI)가 각색하고 슬리피씨(슬리피-C)가 그림을 그린 <전지적 독자 시점>을 선보입니다. <좀비딸>은 좀비 바이러스 사태 속에서도 끝내 버릴 수 없는 부성애를 따뜻하고 유쾌하게 풀어내며, 가족애와 휴머니즘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현실과 소설이 교차하는 독창적인 세계관과 독자가 직접 이야기에 개입하는 독특한 설정을 통해 전 세계 독자들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두 작품의 주요 에피소드와 포토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웹툰이 단순한 읽을거리를 넘어 전시, 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조망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 콘텐츠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고, 웹툰을 매개로 동시대 한국 문화를 이해하며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전시 정보 - 전시명: <K-Comics World> - 전시 기간: 2025년 9월 16일 – 10월 15일 - 전시 장소: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150 Elgin St #101, Ottawa, ON K2P 1L4) - 개막행사: 2025년 9월 16일, 17:00 (ET) (사전 등록 불필요) - 전시 작품: <좀비딸>(이윤창), <전지적 독자 시점>(싱숑 / UMI / 슬리피-C)

숲이 속닥속닥
전시 숲이 속닥속닥

숲이 속닥속닥: 숲이 속삭이는 공간, 모두를 위한 예술 놀이터 2025년 7월 11일부터 9월 5일까지 어린이와 가족 관람객을 주요 대상으로 한 전시 <숲이 속닥속닥>을 개최합니다. 본 전시는 관객들이 ‘숲’을 주제로 한 다양한 매체의 예술작품과 소통하면서, 환경, 공존의 가치에 대해 질문하고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엄아롱 작가는 급속히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반복된 이주의 경험을 바탕으로, 버려진 사물과 동식물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재조합한 설치작품을 선보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억, 이동, 상실, 재생이라는 주제를 조형적으로 풀어내며, 인간과 자연, 그리고 사물의 관계에 대한 사유를 시각화합니다. 홍학순 작가는 수년간 구상해 온 상상 속 세계 ‘윙크토끼 우주(Wink Tokki World)’를 중심으로 벽화, 영상 등을 선보입니다. 그는 각기 다른 존재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사회의 풍경을 표현하며, 다양성과 공존의 가치를 전달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두 작가는 전시 공간을 숲속 놀이터로 탈바꿈시킵니다. 동시대 한국 시각예술을 통해 자연과 인간, 그리고 다양한 존재들이 함께 살아가는 세계를 조망하며, 특히 미래 세대에게 지속가능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또한, 전시를 ‘감상하는’ 경험에서 더 나아가, 작품과 ‘소통하고 교감하는’ 예술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이 예술을 통해 자연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숲이 속닥속닥>은 조용히 이야기를 들려주는 숲처럼, 모두가 함께 살아가고 성장할 수 있는 세상을 함께 상상하도록 합니다. 전시 정보 - 전시명: 숲이 속닥속닥 Whispers of the Forest - 전시 기간: 2025년 7월 11일 – 9월 5일 - 전시 장소: 한국문화원 (150 Elgin St #101, Ottawa, ON K2P 1L4) - 개막행사: 2025년 7월 11일, 17:00 (ET) (사전 등록 불필요) - 참여 작가: 엄아롱, 홍학순 엄아롱 작가 소개 엄아롱 작가는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며 재개발로 인해 주거지를 옮겨야 하는 경험도 겪었다. 이러한 경험은 도시의 변화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감하게 했고, 이는 그의 작업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버려진 사물들을 수집해 작품에 활용하며, 이러한 재료적 접근은 그의 표현 방식과 주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엄아롱의 작업은 도시에서 소외되거나 잊힌 것들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기억, 이동, 상실, 재생 등의 주제를 탐구한다. http://umalong.com/  홍학순 작가 소개 홍학순은 윙크토끼 우주를 만들고 있다. 그는 토끼 코드(Tokki Code)라고 하는 특별한 드로잉 방식을 개발하여 1998년부터 2025년 현재 2만여 페이지, 9권으로 구성된 토끼 책을 제작하였다. 이 책에 기록된 윙크토끼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드로잉, 페인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한다.  https://www.instagram.com/wink_tokki/ 

[전시 연계 워크숍] 천 조각으로 만드는 자연
전시 [전시 연계 워크숍] 천 조각으로 만드는 자연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은 2025년 7월 12일(토) 10시, 전시 <숲이 속닥속닥 (Whispers of the Forest)>과 연계하여 엄아롱(UM A LONG) 작가와 함께 전시 연계 워크숍 '천조각으로 만드는 자연'을 진행합니다. 이 워크숍은 버려진 천 조각을 활용하여 자연을 테마로 한 가랜드를 만드는 체험형 프로그램입니다. 일상 속 버려진 것들이 어떻게 아름다운 예술로 재탄생할 수 있는지를 경험합니다. * 일시: 2025년 7월 12일(토) 오전 10시 – 11시 30분 (동부표준시) * 장소: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150 Elgin St #101, Ottawa, ON K2P 1L4) * 등록: https://forms.gle/MfLwzLdq8LLkWcXQ7  * 참가비: 무료 * 선착순 접수, 인원 제한 있음 * 모든 연령 참가 가능 (권장 연령: 10세 이상, 10세 미만 아동은 보호자 동반 필수)  * 사전 등록 필수 엄아롱 작가 소개 엄아롱 작가는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며 재개발로 인해 주거지를 옮겨야 하는 경험도 겪었다. 이러한 경험은 도시의 변화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감하게 했고, 이는 그의 작업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버려진 사물들을 수집해 작품에 활용하며, 이러한 재료적 접근은 그의 표현 방식과 주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엄아롱의 작업은 도시에서 소외되거나 잊힌 것들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기억, 이동, 상실, 재생 등의 주제를 탐구한다. http://umalong.com/ 

한식

문화원 일정

2025.10

문화원 정보

  • 운영시간

    월요일, 09:00 - 17:00 화요일 - 금요일, 09:00 - 20:00 토요일, 10:00 - 18:00

  • 대표전화

코리아넷 뉴스